임상 생리학 정리
1. 유발 근전도
* 표면 전극을 부착한 뒤 신경지 배근의 피부에 자극을 준 후 유도하는 방법
* 전극 : 피부 평면 전극 (일반적 사용)
* 자극역치 → H < M < F, 잠복기 →M < H < F
M 파 : 운동신경의 섬유로 운동-신경전도 속도의 반복 자극 검사에 사용
말초신경 및 근육의 상태. 신경, 근 접합부 등의 상태 반영
자극이 강할수록↑ 진폭이 강해진다↑
H라 : 감각신경의 섬유로 자극에 의하여 척수 전각(운동성) 세포를 흥분시킴으로써 일어나는 구심성신경 근육 활동전위 (하지에서 유발됨)
자극이 강할수록↑ 진폭이 감소↓(M 파와 H 파와 구별할 것), 무조건반사 상태의 지표 (상위 중추의 영향, 척수 내의 병변)
F라 : 운동신경섬유를 역행한 자극이 척수 전각 세포를 흥분시키고 다시 운동신경을 하행함으로써 얻어지는 근육 활동 전위 (상지에서 유발됨)
* 반복 자극법
- M 파 이용
- 신경, 근 접합부의 이상 (중증 근무력증 : 소세포암에 수반됨)
* 말초 운동 신경전도속도(NCV) “원심성” 신경전도검사
- M 파 이용
- 측정부의 : 상지(정중신경, 척골신경), 하지(경골신경, 총비골신경)
- 정상치 : 하지: 40~100 m/sec, 상지: 50m/sec
- N CV 계산 공식 : 두 자극적 간의 차(근위-원 위의 거리) mm /잠복시간 sec= m/sec(계산 문제)
* 말초 지각 신경전도속도(SCV) “구심성” 신경전도검사
- H라 이용
- 측정부의 : 상지(정중신경, 척골신경), 하지(비복 신경)
- 측정법 : 선행성 측정법 多, 역행성 측정법(손가락 끝)→진폭이 큼, 1점 자극, 1점 기록 측정 가능
- 임상적 응용 : 각종 neuropathy (당뇨병성, 요독증, 중독성, 감염성), 말초신경 장애 (수근관 증후군)
2. 정상 근전도
* 근전도의 파형은 수축에 의한 활동전위(방전)에 의해 생김
* 근육 완전히 이완된 상태에서는 활동전위에 의한 파형 형성 안 됨
=> 수축의 강도에 따라 파형의 진폭도 높아짐
* 침전 극에 의한 근전도 검사 시 정상적인 근육을 강하게 수축시키면 => 방전 빈도 증가
* 근수축이 너무 강하면 방전 빈도의 증가로 인한 간섭 파형이 형성된다.
=> 개개의 운동단위 (NMU)가 분리되지 않는다
* 자 압전의(insertion potenial)
- 정상 근육에 침전 극을 찌를 때 일과성(일시적)의 전위가 나타나는 것 => 바로 없어짐
- 진폭 1~3m v 정도 100~300m/sec 지속
* 종 판정의(End plate noise)
- 침전 극을 신경, 근 접합부에 자극할 때 (진폭 20㎶~100㎶, 1~2m/sec 지속)
3. 비정상 근전도
* 안정 시의 비정상 방전 : 완전한 이완 상태에서 보이는 비정상 방전 근 긴장성 전위(myotonic potential)
- 근 긴장성 dis trophy : 급강하 폭격은, 경주 자동 차음
* 섬유 자발 전위 (fibrillation potential)
- 척수 전각 세포의 변성. 말초 운동신경의 절단이나 변성
* 양성 예 파 (positive sharp wave )
- 척수 전각 세포의 변성. 말초 운동 신경 손상
* 섬유소가 자발 전위 (fasciculation potential)
- 근위축성 측색경화증, 척수 전각 세포의 변성. 말초신경의 손상(압박)
- 정상인의 근육이 피로한 경우, 신경지배가 끊어진 근육의 유래
* 군집화 방전 (grouped discharge)
- Parkinson syndrome (파킨슨 증후군), 갑상선 기능 항진증
- 정상인의 정신적 긴장, 추위에 의한 떨림
* 수의 수축 시의 비정상 근전도
방전 수의 감소 : 신경원성 근 위축
저 진폭 전위 : 근원 질환 (진행성 근 이영양증, 다발성 근염)
지속시간이 짧은 전위 : 근원 질환 (진행성 근 이영양증)
다산성 전위 : 말초신경의 병변 회복 시, 다발성 근염
고진 폭 전위 : 말초신경질환의 회복 시, 척수 전각 염, 진행성 척수성근위축증, 근 위축성 측색경화증
※ 점증과 점감 (waxing and waning) : 신경, 근 접합부의 이상(중증 근 무력증)↳ M 파
★ 신경 전도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
· 온도(상승에 비례)
· 연령
· 신장
· 거리 측정
· 신경의 위치
* 후반부 근전도 문제
1. 유발 근전도의 파형 중에서 운동신경의 직접 자극에 의한 통상적인 근육 활동전위에 의해 형성되는 파형은 ?
(1) F라 (2) H라 (3) M 파 (5) S파
(5) T라
2. 구심성 섬유의 자극에 의하여 척수 전각 세포를 흥분시킴으로써 일어나는 근육 활동 전위에 의한 파형은 ?
(1) A라 (2) B라 (3) F라 (4) H라 (5) M 파
3. 근전도 검사에 대해 설명해준 바르지 못한 것은 ?
(1) 골격근이 완전히 이완하고 있을 때 활동 전위는 나타나지 않는다.
(2) 정상 근육이 강하게 수축할 때 방전 빈도는 증가한다.
(3) 침을 근육에 찔러 넣었을 때 그 기계적 자극에 의해 스파이크 발사가 나타난다.
(4) 수축이 너무 심하면 간섭파가 되어 개개의 파형을 계측하기에 부적당하다.
(5) 간섭파가 되면 진폭이 감소한다.
4. 유발 근전도에 관해 설명해준 틀린 것은 ?
(1) 말초 운동신경 전도 속도는 M 파를 이용한 유발 근전도이다
(2) 보통 표면 전극을 사용하여 실시한다
(3) 반복 자극법은 H 파를 지표로 하여 실시한다
(4) 신경을 전기자극함으로써 실시한다
(5) 잠복시간은 H 파보다 M 파가 짧다
5. 유발 근전도에 관해 설명해준 옳지 않은 것은?
(1) M 파: 반복 자극 검사
(2) H라: 무조건반사 회복 곡선
(3) 반복 자극법: 척수 전각 세포 흥분성 검사
(4) M 파: 말초 운동신경 전도 속도
(5) F라: 운동신경 전도 속도
6. 상지에서 쉽게 유발되는 근전도 파형은?
(1) M 파 (2) H라 (3) F라 (4) M, H라 (5) H, F라
7. M 파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H 파보다 역치가 높다.
(2) 운동신경의 alpha 섬유가 자극될 때 발생한다.
(3) 잠복시간은 20~30msec이다.
(4) 말초신경 및 근의 상태를 잘 반영한다.
(5) 자극을 강하게 하면 진폭이 증가한다.
8. 유발 근전도에 관해 설명해준 바르지 않은 것은?
(1) 보통 전기자극으로 지속 시간이 0.1~1msec인 방형파가 이용된다.
(2) M 파는 말초신경 및 근육의 상태를 반영하여 변화한다.
(3) H 파는 구심성신경과 원심성신경이 관여하고 있다.
(4) M 파는 H 파보다 역치가 낮다.
(5) 반복 자극검사는 점증, 점감 현상에 의해 중증 근무력증이나 이튼-삼밧 증후군의 진단에 도움이 된다.
9. 유발 근전도에 관해 설명해준 바르지 않은 것은?
(1) M 파의 잠복시간은 F 파의 잠복시간보다 짧다.
(2) M 파의 자극역치는 H 파의 자극역치보다 크다.
(3) 감각성 신경 흥분전도 속도를 측정하는 데는 활동전위의 가산 장치를 이용하거나 역방향 측정법에 의한다.
(4) 상지에서는 자신경(척골신경)이나 정중신경이 검사의 대상이 되는 수가 많다.
(5) 강도기간곡선을 조사하는 데는 근육의 운동점을 피하여 자극한다.
10. 다음 유발 근전도의 말초감각 신경 전도 속도에 관해 설명해준 옳지 않은 것은?
(1) 역방향 측정 방법은 정방향 측정 방법에 비해 진폭이 크다.
(2) 평균 가산 장치를 이용하여 10~100회 정도의 가산 처리해야 한다.
(3) 기록 전극은 피부 표면 전극이 사용된다.
(4) 자극 전극은 칩 전극을 사용한다.
(5) 대사성, 중독성 등의 각종 신경원성 질환이나 말초신경질환 검사에 이용된다.
11. 유발 근전도의 H라 파형 설명이 옳은 것은?
(1) M 파보다 잠복시간이 짧다.
(2) 역치가 M 파나 F 파에 비해 높다.
(3) 무조건 반사 상태의 지표로 이용된다.
(4) 자극의 강도를 높이면 진폭은 점점 커진다.
(5) 운동신경의 a 섬유가 직접 자극에 의해 들 쪽(구심성)으로 전해진다.
12. 운동 신경전도 검사에서 그림과 같은 복합 근육 활동전위의 파형을 얻었을 때, 검사자의 조치 사항으로 올바른 것은?
'경제학, 조직검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직검사학 정리본 (0) | 2022.08.13 |
---|---|
심전도 관련 정리본 (0) | 2022.08.13 |
핵의학이란? (0) | 2022.08.13 |
조직 검사학과 임상 병리학 (0) | 2022.08.10 |
조직 검사학 3막 (0) | 2022.08.0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