핵의학이란?
"nuclear medicine"이란
방사성 동위 원소"를 이용한 진단과 치료를 하는 의학 분야로서 기능적 인체 영상과 생체분자 영상, 방사면역측정법 및 방사성동위원소 치료까지 의학적 임상 이용뿐 아니라 이러한 진료를 위해 방사성의약품과 핵물리학을 연구 개발하는 핵의학 기초 연구가 주요 분야로 자리 잡고 있다.
"갑상샘암"은 핵의 학과에서 진료하는 가장 중요한 질환으로서, 수술 수 재발이나 전이의 발견, 재발이나 전이된 암의 치료에 있어서 방사성 요오드(I-131)를 이용한 진단 및 치료가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다.
이외에도 심혈관질환, 뇌혈관질환, 치매, 파킨슨병 등에서 핵의학을 이용한 진단 및 치료가 시도되고 있다.
핵의학의 전망
최근, 핵의학과를 molecular imaging이라는 새로운 분야가 개척되어
1960년대 이후 폭발적으로 발전해온 분자생물학을 임상적으로 시도되었다고 할 수 있으며 분자 수준에서 일어나는 현상들을 영상으로 진단함으로써 개인별 맞춤 치료, 조기 진담 및 치료라는 현대의학의 발전 방향에 핵심이 되는 분야이다.
우리나라 핵의학 역사
1) 1960' 서울대학교병원에 동위원소진료실
이라는 이름으로 처음 개설
2) 1970' 방사성동위원소 이용 의료기관 17개소
3) 1993' 전문 진료과목으로 독립
4) 2009' 전문 인력 의사 290명
방사성동위원소 이용 의료기관 150개소
5) 1996' 핵의학 전문제도 출범- 매년 전문의 10명씩 배출
6) 2006' 1994년 처음 도입한 PET 검사의 국민건강
보험에서 급여된 수의 뚜렷한 증가를 함
7) 현재, 방사면역측정법 분야에서 활동 중인 임상 병리사
는 248명
세계 핵의학의 역사
1985' 독일의 Roentgen(물리학자)이 X선 발견 -X선의 조사선량 단위: 뢴트겐
1896' 프랑스의 Becquerel(물리학자)이 우라늄에서 방사선 발견
1898' 프랑스의 Curie가 방사능이라 표현하고 라듐을 발견-방사능 측정 단위: 쿠릴
1932' 갑상샘암 치료에 I-131을 처음 사용하고 혈액질환 치료에 P-32를 전신조사 목적으로 치료에 사용
1959' Yalow와 beg son이 당뇨병환자의 체내에서 인슐린 항체를 발견하고 방사능 측정법을 개발
1970' 영상 검사에서 I-131보다 반감기가 짧은 IC-99m이 개발 사용됨
핵의학 구분
체외 치료
: 방사성동위원소로부터 방출되는 방사선을 환자의 몸 밖에서 조직에 피폭시켜 조직의 암세포에 작용
2. 체내 치료
: 방사성동위원소를 환자의 몸 안에 직접 투여하여 방사성동위원소가 방출하는 방사선이 직접 조직의 세포에 작용
영상 검사
환자에게 방사성동위원소를 투여하고 방출되는 방사선을 촬영기를 이용하여 장, 뼈, 신장 등을 영상화하여 진단
1. 영상 검사의 목적
장기의 위치와 모양, 크기를 알 수 있다.
병변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종양의 크기와 위치를 알 수 있다.
전이 여부를 알 수 있다.
체내. 체외 검사
환자에게 방사성의약품을 투여(정맥, 경구)하고 일정 시간 후에 검사 대상물(혈액, 소변, 대변 등)들 채취하여 검사 대상물에 포함된 방사능의 농도를 측정함으로써 진단한다.
환자에게 방사성동위원소 투여 후
체외에서 측정-갑상샘 옥소 검사
환자에게 방사성동위원소 투여 후 채혈하여
검사 대상물의 방사능 측정-옥소
검사 대상물 검사
환자에게서 혈액, 소변과 같은 검사 대상물을 채취하여 검사 대상물과 방사성동위원소와 반응시켜 검사 대상물 내의 함량을 측정은 검사
- 갑상샘 자극 호르몬 검사
핵종
핵종: 원소의 기본 형태(nucleus + elytron)
방사성 핵종: 불안정한 원자핵을 가져 붕괴하는 핵종
동위 원소: 원자번호 같으나 중성자 수가 다른 원소
방사성 동위 원소: 방사선을 내는 동위원소로서
원자핵이 스스로 방사선을 다른
종류의 원자핵으로 붕괴하는 원소
신경 전도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
· 온도(상승에 비례)
· 연령
· 신장
· 거리 측정
· 신경의 위치
근 전계
* 증폭기의 시정 수 : 0.03초 (0.01~0.05초)
* 전치증폭기 (차등 증폭기)의 판 별미 : 60 DB 이상
* 브라운관 oscilloscope : 관찰용 브라운관 (파형 관찰), 촬영용 브라운관
파형 기록
* 기록기의 필름 이동속도 : 20cm/sec (표준)
* 스피커(확성기) : 근전도의 방전차형을 소리로 듣기 위함
* 지각신경 유발 전위 : 저 전위
* 교정전압 : 1m v → 2 Div
피부 표면 전극 (평탄 전극)
- 근육 전체에 대한 활동전위 측정이나 반사 활동의 검사
-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
침(바늘) 전극
- 동심 침전 극
- 근육 개개의 신경, 근 단위(NMD)의 활동전위를 분리
※ 운동단위 (신경, 근 단위 : NMD : neuromuscular unit)
- 1개의 운동신경과 그에 의해 지배되는 근섬유군
잠복시간(latency) : 자극 후 반응의 시작까지 숨어있는 시간
진폭(amplitude) : 반응의 크기
반응시간(duration) : 반응의 시작 – 끝
거리(distance) : 줄자로 직접 측정
전달경로 : 전각 세포-말초신경-신경근접합부-근육의 운동신경
(운동 단 위)
말초신경의 근위부에 초 최대(supra maximal)자극을 준 후 그 신경이 지배
하는 원 위 근육에서 발생하는 복합근육활동전위(compound muscle action
potential, CHAP) or M-반응(M-response)을 기록한 다음 잠복기, 진폭,
전도 속도, 지속시간 및 파형의 모양 등을 관찰하는 검사
표면 전극을 부착한 뒤 신경지 배근의 피부에 자극을 준 후 유도하는 방법
* 전극 : 피부 평면 전극 (일반적 사용)
* 자극역치 → OHM &It; F, 잠복기 →M < HF
M 파 : 운동신경의 섬유로 운동-신경전도 속도의 반복 자극 검사에 사용
말초신경 및 근육의 상태. 신경, 근 접합부 등의 상태 반영
자극이 강할수록↑ 진폭이 강해진다.↑
H라 : 감각신경의 섬유로 자극에 의하여 척수 전각(운동성) 세포를 흥분시킴으로써 일어나는 신경 근육 활동전위 (하지에서 유발됨)
자극이 강할수록↑ 진폭이 감소↓(M 파와 H 파와 구별할 것), 무조건반사 상태의 지표 (상위 중추의 영향, 척수 내의 병변)
F라 : 운동신경섬유를 역행한 자극이 척수 전각 세포를 흥분시키고 다시 운동신경을 하행함으로써 얻어지는 근육 활동 전위 (상지에서 유발됨)
'경제학, 조직검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심전도 관련 정리본 (0) | 2022.08.13 |
---|---|
임상 생리학의 정리 (0) | 2022.08.13 |
조직 검사학과 임상 병리학 (0) | 2022.08.10 |
조직 검사학 3막 (0) | 2022.08.09 |
조직 검사학의 실습 2막 (0) | 2022.08.09 |
댓글